목록분류 전체보기 (305)
coalece / date_format / order by, having 오늘은 프로그래머스 MySQL SQL문 문제를 풀며 알게 된 내용들에 대해 다룬다. 먼저, 문제는 다음과 같다. coalece 다음 문제에서는 이름이 Null 값인 동물의 이름을 "No name"으로 치환하여 보여주는 것을 원한다. SELECT ANIMAL_TYPE, coalesce(NAME,'No name') as NAME, SEX_UPON_INTAKE FROM ANIMAL_INS ORDER BY ANIMAL_ID 이때, coalesce 라는 함수는 처음 사용해보았는데, coalesce는 null이 아닌 첫번째 유효한 표현식을 반환하는 함수이며 이 함수 덕분에 name컬럼 내에 존재하는 Null 값을 "No name"으로 치환하여..
일주일 만에 포스팅이다. 사실 그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삽질을 좀 했다. nest.js에서는 뚝딱 뚝딱 쉽게 구현되는 것들이 node.js에서는 왜 이리 예민하게 반응하는지... ㅠㅠ 아무튼 오늘은 로그아웃 구현을 위해 작성한 미들웨어에 대해 얘기해본다. 예전 부트캠프에서는 Nest.js에서 전략 패턴을 사용해서 토큰 검증을 해본 경험이 있다보니, 이번에는 오로지 별다른 기술 없이 알고리즘 로직만을 활용하여 미들웨어를 구현해보았다. 2023.02.22 - [코딩/nest.js] - NestJs - 로그아웃 프로세스 구현 / docker를 사용한 redis 해당 로직은 세 가지 로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jwtAuth : 로직의 전체 틀이자 미들웨어 자체로 사용하는 함수 jwtValidat..
TCP & UDP TCP와 UDP는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전송계층'이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 &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재전송 요구나 패킷의 오류를 검사한다. TCP TCP는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이라고도 하며, 데이터 전송 전 세션 수립 후, 먼저 통신이 되나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통신 후에는 세션이 종료되며, 오류가 났을 경우 재전송을 시도한다.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전송) 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웹브라우저 / 이메일 / 파일 전송에서 사용한다. TCP 에서는 3way-handShake 라는 방법으로 연결을 초기화하며 4way-handShake로 통신을 종료하게 되는데, 과정을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UDP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
미래의 나에게 // PM2 설치 npm install pm2@latest -g # or yarn global add pm2 // pm2 실행 pm2 start ecosystem.config.js // 실행 중인 Pm2 리스트 조회 pm2 ls // 특정 프로세스 중단 pm2 stop [id] // 특정 프로세스 삭제 pm2 delete [id] // 실행 중인 pm2 종료 pm2 kill // ecosystem.config.js 설치 pm2 init // babel 모듈 yarn add -D @babel/register 먼저 PM2 는 Node.js 애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관리자이며, 백그라운드에서 Node.j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하는 도구이다. GCP에서 사용했던 인스턴스와 같은 역할을 ..
미래의 나에게 // 설치 yarn add prisma // 프리즈마 사용 시 필요한 파일 생성, prisma/schema yarn init // schema.prisma 기반의 Prisma client 등의 자원 생성 yarn prisma generate // schema.prisma 기반으로 DB 업데이트 yarn prisma migrate dev // 실제 DB 반영 없이 migration 파일 변경 yarn prisma migrate dev --create -only 먼저 ORM이란, SQL 쿼리문을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다. 2023.01.29 - [코딩/node.js] - ORM / Sequelize & typeORM 이전에는 항상 TypeORM을 사용하..
이번 포스팅에서는 node.js 미들웨어와 라우터를 핸들링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미들웨어 먼저 미들웨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중간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를 의미한다. 정확히는 소프트웨어에서 다른 소프트웨어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컴포넌트라고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 웹 어플리케이션 라우팅 보안 로깅 node.js에서의 미들웨어는 app.use 메서드를 통해 등록 & 동작한다. app.use(cors({ origin: "*" })); app.use(helmet()); app.use(express.json()); app.use(express.urlencoded({ extended: true, limit: "700mb" })..
오늘은 node.js 에서 graphQL 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한 내용에 대해 다룬다. 먼저 구조에 대해 얘기하면, node.js 도 nest.js 와 비슷하게 모듈화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효율적이다. index.js 를 뿌리로 하여 연결된 모습이라 이해하면 편하다. // index.js const module1 = require("resolver/module1") const module2 = require("resolver/module2") const typeDefs = [ queries, mutations, module1.typeDefs, module2.typeDefs, // enums, ] const resolvers = [ module1.resolvers, module2.resolvers ]..
1. 팀장으로서의 프로젝트 후기 2.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프로젝트 후기 3. 프로젝트 사용한 기술 스택 1. 팀장으로서의 프로젝트 후기 저는 캠프 내 프로젝트에서 팀장으로 팀을 이끌었습니다. 프로젝트 초반에는 대부분의 팀원이 초심자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습니다. 소속된 부트캠프에서 모든 기수를 통틀어 역사의 남을 만한 결과물을 만들고 싶다라는 욕심과, 다양한 리더 경험이 있었던 저로서는 무엇이든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 때문이었습니다. 프로젝트 초중반까지는 모든 것이 순조로웠습니다. 모든 팀원들과 끊임 없이 소통과 피드백을 진행했고, 가끔은 기획의도와 크게 변하지 않는 선에서 조금씩 프로젝트 방향을 수정하기도 하며, 계획한대로 프로젝트를 만들어 나갔습니다.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