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algorithm (175)

https://www.acmicpc.net/problem/2338 다른 언어를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인프런에서 한 시간 정도 강의를 듣고 처음 풀어본 문제다. 간단한 문제지만 이를 위해 소모했던 시간이 크다보니, 이를 기념하는 후기 포스팅을 남긴다. 사실 가장 오래 시간을 소모했던 것은 input 데이터를 받는 초기 설정이었다. 이전 자바스크립트로 문제 풀이를 할 때는, 문제 풀이 | 문제 제출 시 데이터 입력을 받는 코드를 최소화하기 위해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여 input 데이터를 받았더랬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해당 코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상황에 맞춰 비활성화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기 때문) 그 코드는 아래와 같은데, 이렇게 함으로써 platform === 'linux' 환경에서는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3502 스택의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사실 이 풀이 이전에는 replace 메서드를 활용하여 풀이했는데, 절반 이하의 테스트 케이스에서 시간초과로 탈락했다. 스택을 활용한 풀이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택으로 활용하기 위한 배열을 만든 후, 각각의 값이 들어올 때마다 스택에 추가해준다. 이때 만약 스택에서 마지막에 위치하는 4개의 요소가 '1231'(빵 - 야채 - 고기 - 빵)과 같다면 해당 마지막 4개의 요소를 삭제하고 결괏값에 + 1을 추가한다. 전체 소스 코드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let result = 0 cons..

https://www.acmicpc.net/problem/2644 문제는 각 node 간의 관계가 주어졌을 때, 특정 두 node의 촌수를 계산하는 문제다. (노드 간 거리 +1) 나는 그래프를 먼저 구현한 후, BFS를 활용하여 해결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입력.txt") .toString().trim().split('\n') function solution(data) { const [N, temp, _, ...arr] = data // '촌수'를 구해야하는 두 노드 const [target1,target2] = temp.split(' ').m..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8 문제에서 '미로'라고 하길래, DFS나 BFS로 풀이해야 할 줄 알았는데, 자세히 읽으니 DP 문제였다. (허허) 문제는 좌표 [0,0]위치에 있던 인물이 우향 | 우하향 | 하향 으로만 움직일 수 있고, 각 좌표마다 '사탕의 갯수'가 있다고 할 때 가장 많은 사탕을 담는 경우에 대해 묻는다. 따라서 특정 좌표에서 우향 | 우하향 | 하향으로 움직일 때, 움직일 좌표가 미로에서 유효한 위치인지 파악 후, 위치가 유효하다면 해당 위치의 사탕 갯수, 이전 가지고 있던 사탕의 갯수를 더해 기록(메모라이징)해나가며 풀이하면 된다. 전체 소스 코드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

https://www.acmicpc.net/problem/1337 문제는 길이가 n인 배열을 주고, 길이가 5이며 인접한 수의 차이가 1인 연속적인 배열을 만든다고 할 때, 추가해야 할 최소 원소의 갯수를 출력하는 문제다. 각 원소를 해쉬 테이블에 저장해둔 뒤, 검색하는 용도로 활용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입력.txt") .toString().trim().split('\n') function solution(data) { data.shift() const table = {} data.forEach(el => table[el] = true) let..

https://www.acmicpc.net/problem/17175 문제는 피보나치 수열을 응용하여, input이 들어왔을 때 피보나치 수열이 몇 번 호출되는지를 묻는다. 먼저 문제에서 제시된 함수를 살펴봐야 하는데, fibonacci(n)이 호출되고 fibonacci(n-1)과 fibonacci(n-2)이 호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n이 2 이하인 경우는 추가 호출이 없음을 인지해야 한다.) 즉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input === 2 fi(2) fi(1) fi(0) // => 총 3번 호출 // input === 3 fi(3) fi(2) fi(1) fi(1) fi(0) // 이때 fi(1)와 fi(0)은 fi(2)에서 일어나는 호출 // => 총 5번 // input === 4 fi..

https://www.acmicpc.net/problem/13909 해당 문제에는 아래와 같이 접근했다. 최대 입력값이 21억이기 때문에, 반복문으로는 해결할 수는 없으므로 나름의 규칙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먼저 문제가 요구하는대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코드를 먼저 작성해서 적용해보았다. // 시뮬레이션 코드 function solution(data) { const arr = Array.from({length : +data+1}, (_,i)=> [false,i]) for(let i = 1 ; i < +data+1 ; i ++) { for(let j = 1 ; j < +data+1 ; j ++) { if(j % i === 0) { arr[j][0] = !arr[j][0] } } } cons..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885 생각한 풀이과정은 다음과 같다. numbers 의 요소가 짝수인 경우, 2진수로 변환했을 때 마지막 비트는 무조건 0이다. '4'를 예로 들면, 4의 이진수가 '1000' 일 때, 마지막 비트 0을 1로 수정하면 1001(5)가 되므로 비트가 1~2개 다른 수 중 가장 작은 수가 5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짝수일 경우는 n이 주어질 때 n+1. 하지만 numbers의 요소가 홀수인 경우는 직접 구해야 한다. 만약 '7'이 주어질 경우의 7의 이진수는 111인데, 조건이 이보다는 커야 하므로 비트 자릿수는 최소 4자릿수이어야 한다. 때문에, 홀수 n이 주어진 경우는 7을 이진법으로 바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