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버리스 본문

개발/알쓸코잡

서버리스

자전하는명왕성 2023. 3. 1. 13:36

서버리스 (Server-less)

서버리스 서비스는 그 말마따나 서버가 없는 상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가 없는데 어떻게 API를 요청 / 응답 받을 수 있겠느냐 싶다만,

API 는 클라우드 제공업체(GCP || AWS 등) 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펑션(Cloud Fuction)을 통해 이루어진다.

 

  • 브라우저에서 API를 요청하고,
  •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함수를 통해 API 에 대해 응답한다.

혹여 해당 API 가 DB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에 만들어둔 SQL에 접속해 응답한다.

 

서버리스 서비스의 장단점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서버리스 서비스는 말 그대로 서버가 없기 때문에,
  • 일반적인 서버 배포 비용을 부담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펑션이 호출되는 경우에만 비용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운용에 대한 비용이 적으며,
  • 서버 관리와 같은 부담이 줄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개발에 보다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 허나, 첫 API 호출 시에는 API가 실행되기 위한 Cold start가 발동되기 때문에 응답 속도가 다소 느린 편이다.
  • (꾸준히 더미 신호를 보낼 경우, Cold start 없이 API 응답을 할 수 있기는 하나, 항상 서버를 켜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기에 큰 장점을 갖지는 않는다.)
  • 추가적으로 클라우드 펑션은 등록할 수 있는 함수의 용량 제한과 실행 시간의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https://aws.amazon.com/ko/serverless/

'개발 > 알쓸코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 / CD  (0) 2023.03.04
Kubernetes (쿠버네티스)  (0) 2023.03.03
HTTP & HTTPS & SSL  (0) 2023.02.25
FireWall(DMZ) & VPC  (0) 2023.02.25
Jest  (0) 2023.02.23
Comments